▲ 조규정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규정 기자] “국민세금이 동원되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반대다”

지난 2일 열린 ‘에너지경제연구원 30주년 기념 국제 세미나’ 기조연설자로 나선 이회성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 의장의 발언에 자원개발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IPCC가 해마다 내놓는 기후변화에 대한 보고서는 실제 전세계 기후체제의 방향을 수립하는 기본서처럼 쓰이고 있는 만큼 이회성 의장의 발언은 향후 전세계 정책 기조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관련 업계에서는 “틀린 말은 아니지만 너무 이상에 가까운 주장 아니냐”라며 “현실적으로 볼 때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석유화학분야만 예를 들더라도 기름 한 방울 나오지 않는 대한민국에서 자원개발을 하지 않는다면 대체 수단이 있는냐”고 꼬집었다. 

지난해 12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본회의에서 채택된 파리협약에 합의한 195개 당사국들 가운데 자국 내 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있는 반면 우리나라와 같이 수입에 의존해야만 하는 국가도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상황들을 고려한 각 나라별 특성에 따라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에너지의 96% 이상을 수입할 만큼 해외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더욱이 자원개발사업의 특성상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에 수익성에 민감한 민간기업이 국가산업을 위해 투자할리 만무하다.

특히 운송분야뿐만 아니라 소재산업 등 여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도 간과할 수 없는 노릇이다.

해외자원개발에 당장 손을 놓는 일이 관련 산업의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도 고민해봐야 할 문제다.

IEA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20~30년 후 전세계 화석연료 의존도는 75%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듯 미래에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게 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와 노력 역시 필요한 시점인 것은 사실이다.

유수의 글로벌 기업의 경우 자원개발사업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역시 화석연료를 대체할 미래 먹거리 찾기에 분주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